PEG 뜻
'기업의 주가가 얼마나 고평가 되어 있느냐'와 '이 기업이 미래에 성장하여 얼마나 돈을 벌어들일 것이냐'를 비교한 지표.
PEG는 낮을수록 좋으며 일반적으로 1 이하면 평가된 주가 대비 성장이익이 높은 것으로 좋다.
참고로 PEG는 Price Earning to Growth ratio의 약자이다.
PEG 계산식
PEG = PER / EPS성장률%
PEG계산에는 PER과 EPS 개념이 들어간다. 따라서 PER과 EPS 의미를 먼저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PER은 기업의 시가총액을 순이익으로 나눈 지표로 주가가 기업이 실제로 벌어들이는 이익 대비 주가가 얼마나 고평가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는 지표다.
EPS는 Earning Per Share로 주당순이익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기업의 총 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EPS성장률이란 한 마디로 이 기업의 순이익이 얼마나 성장할 것인가를 퍼센트로 나타낸 것이다. 성장률이라는 것이 기업이 내놓는 가이드도 있지만 대부분 애널리스트들이 내놓는 예측치이다.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측하는 기간에 대해서는 설정하기 나름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주식 기초 투자지표 공부하기 - ROE, EPS, PER, BPS, PBR
약 2년간 주식을 해오면서 주식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생각하는 것은 기업의 미래가치이다. 주식은 기업의 과거와 현재가 아닌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는 것이며, 기업의 그 미래가치가 세상
cashsnowball.tistory.com
PEG 의미
다시 돌아와 PEG는 PER을 EPS성장율로 나눈 것이다. PEG 숫자자체가 특정 의미를 가지고 있다기보다, 벌어들이는 수익 대비 주식시장에서 기업이 얼마나 고평가되고 있느냐라는 개념과 기업이 앞으로 얼마나 수익을 더 벌것이냐라는 개념을 비교하는 지표라 이해하면 된다. 주식을 사는 입장에서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으면 좋고(PER낮음), 기업이 앞으로 벌 수익 성장성이 높은 것이 좋다.(EPS성장률 높음). 그럼 PEG 계산식에서 분자(PER)는 작아야하고 분모(EPS성장률%)는 커야한다. 결과적으로 PEG가 작을 수록 좋으며 1보다 작으면 주가 평가수준 대비 수익성장률이 좋은 것이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재 투자에 대해 고민해보자(원자재 상승시기, 주식과의 흐름비교, 미국 원자재 ETF 등) (0) | 2022.02.16 |
---|---|
물가연동채권, 그것은 무엇이며 언제 사두는 것이 유리할까? 주식가격 흐름과 비교해보았다. (0) | 2022.02.06 |
기준금리 상승 시 주식시장(성장주, 가치주)의 흐름 (0) | 2022.01.22 |
기준금리와 주식시장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0) | 2021.12.21 |
미국 연준 기준금리와 10년물 국채금리 의미 (0) | 2021.12.16 |